 |
 |
 |
 |
열화당, ‘열화당 사진문고’ 39권째 시리즈 ‘윤주영’ 편 출간
|
15-07-29 10:42
|
|
 |
 |
 |
 |
작성자 : 관리자 |
TEXT SIZE :
+
-
|
|
|
|
열화당, ‘열화당 사진문고’ 39권째 시리즈 ‘윤주영’ 편 출간
- 엄선된 62점의 대표작 작가 자신의 설명과 함께 수록 -
예술서적 전문 출판사인 열화당은 국내외 뛰어난 사진가들의 엄선된 작품과 사진설명, 작가론 등을 담은 ‘열화당 사진문고’ 39권째 시리즈 ‘윤주영’ 편을 최근 출간했다.
이번 책의 주인공은 윤주영(尹胄榮, 1928~ ) 작가이다. 그는 이 시대를 한 편의 서사시처럼 긴 호흡으로 담아낸 사진가로 보통의 사진가들과는 다른 독특한 이력을 지니고 있다. 그는 27세에 중앙대 정치학과 교수가 되었고, 33세에 조선일보 편집국장이 되었으며, 35세에 정계에 진출하여 16년간 요직을 두루 거쳤다. 51세에 돌연 관직에서 물러나 카메라를 매고 떠난 여행길에서 그는 사진이 지닌 기록의 힘과 그것을 통한 사회적 발언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이후 30여 년 동안 지구촌 곳곳을 누비며 삶과 죽음, 역사의 피해자와 가해자, 전쟁과 평화, 개인과 사회, 노동의 신성함 등을 따듯한 시선으로 담아냈다. 돌려 말하지 않는 정공법으로 호소하는 그의 사진은 인간과 삶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가슴 아프고도 진실하게 던진다.
작가는 지금까지 20권에 달하는 사진집을 출간했고, 30회가 넘는 전시회를 꾸준히 열면서 그가 가진 모든 열정을 사진에 쏟았다. 사진가의 길로 들어서고 30여 년이 흐른 지금, 그가 세상에 내놓은 결과물들이 단편적이나마 이 한 권의 사진집으로 정리되었다.
‘열화당 사진문고’ 39번째 권으로 출간된 이 책에는 그의 대표적 연작에서 엄선된 62점이 작가 자신의 설명과 함께 수록되어 있어, 윤주영의 작품세계를 일별해 볼 수 있다. 전(前) 사진예술 편집장인 윤세영이 쓴 작가론은 그의 사진을 읽는 새로운 해석의 창이 되며, 책 끝에 실린 국영문 연보는 그의 생의 궤적을 한눈에 보여 준다.
윤주영의 작업을 압축해 주는 말은 ‘사람’이다. 물론 대부분의 다큐멘터리 사진가들의 작업이 사람을 이야기하는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그는 특유의 명민하고 따듯한 눈으로 사회와 역사를 직시하여, 굵직한 주제를 선정하고 그만의 세계를 축조해 나갔다.
초창기에는 안데스 산맥의 국가들을 비롯한 중남미와 네팔, 인도, 부탄, 파키스탄, 터키, 그리스, 이집트, 모로코, 튀니지 등을 찾아 그곳 원주민들의 모습을 담았다. 지금은 개방이 많이 되었지만 당시는 이방인의 발길이 잘 닿지 않는 곳들이었다. 이후 그는 대상을 점차 확대하여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사할린 동포, 탄광촌 광부, 라이따이한, 일하는 부부, 어머니, 입양아 등이 그 대상으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전면에 등장시켰다.
초창기 작업은 삶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는 행복과 불행의 차이가 어디에 있는지, 삶과 죽음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찾아 나섰다. 인도 카트만두 동쪽 끝 바그마티 강 근처의 ‘브리다슈람 복지센터(Social-Welfare Center Briddhashram)’에 모여살고 있는 죽음을 앞둔 노인들의 나날을 담은 ‘내세를 기다리는 사람들’(1990) 연작은 그러한 고민에 대한 스스로의 답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이 작품으로 일본의 저명한 사진상인 이나노부오(伊奈信男) 상을 받았다.
이후에는 좀 더 구체적으로 ‘우리’의 문제에 접근했다. 1992년 발표한 ‘동토의 민들레’ 연작에서는 일본 제국주의의 희생물로 사할린으로 끌려가 끝내 조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우리 동포들의 현실을 담았고, 1995년 발표한 ‘베트남―전후 20년’ 연작에서는 종전 후 베트남을 떠난 한국인들의 아내와 반쪽의 한국인 라이따이한의 현실을 담았다. 피해자로서의 슬픈 역사와 가해자로서의 부끄러운 역사. 조응하기 어려운 이 불협화음이 빚어내는 불편한 진실이 곳곳에서 꿈틀거린다.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주영의 사진에 공통적으로 담겨 있는 것은, 희망의 메시지이다. 그는 거대 담론 안에서 삶을 영위하는 개인의 소박한 삶의 숭고함을 믿는다. 그리하여 허물어져 가는 탄광촌 속에서의 신성한 노동이나, 6.25전쟁 이후 폐허가 된 조국에서 역군을 길러낸 어머니들의 힘을 조명한다. 특히 ‘어머니의 세월’(1997) ‘석정리역의 어머니들’(2003) 등의 연작에서 우리 사회의 장한 어머니들의 보이지 않는 힘을 느낄 수 있다. 그가 삼십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사진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결국은 사람이다’라는 믿음이다. 이는 ‘역사의 주인공 혹은 희생자로서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이어 가는 주체인 사람에게서 희망을 찾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서 정보>
● 제목: 윤주영
● 저자: 윤주영
● 작가론: 윤세영
● 사진설명: 윤주영
● 판형: 136×156mm
● 장정: 반양장
● 면수:144면
● 도판: 사진 62컷
● 발행일 : 2015년 7월20일
● 가격: 1만4천원
▲열화당은 ‘열화당 사진문고’ 39권째 시리즈 ‘윤주영’ 편을 출간했다. 사진은 ‘열화당 사진문고 : 윤주영’의 책 표지 (사진 제공 : 열화당)
김성종 기자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