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사진스튜디오에서 사용해 볼 만한 (주)미소닉스 LED 조명
|
13-12-23 10:39
|
|
 |
 |
 |
 |
작성자 : 관리자 |
TEXT SIZE :
+
-
|
|
|
|
최근 낮은 전력 소비, 친환경, 긴 수명 등을 이유로 차세대 영상 조명으로 LED 조명이 주목받고 있다. 방송 분야에서는 발 빠르게 LED 조명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본격적으로 조명 교체작업에 들어갔고, 사진 분야 역시 2013년 들어 LED 조명으로 교체하는 스튜디오들이 하나둘씩 생기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를 기반으로 한 (주)미소닉스(대표, 김은경 www.misonics.com )는 지난 2009년 9월, 조명 전문업체로 출발했다. 과거 사진용 액세서리 제조업체로 시작해 조명 전문업체로 굳건히 자리매김하고 있는 (주)미소닉스는 차세대 조명으로 불리는 LED(Light Emitting Diode) 관련 조명인 LED 스포트라이트, LED 패널 라이트, LED 메가라이트, LED 베이스라이트, LED 팝 라이트 등을 국산화해 국내외 시장에 활발히 공급하고 있다.
이에 본보에서는 현재 공급중인 (주)미소닉스 LED 조명 중 사진 스튜디오에서 사용해볼만한 제품을 소개한다. - 편집자 주 -
LED MASTER 시리즈
 
▲(주)미소닉스의 LED 패널 라이트중 인상사진스튜디오 에서 사용해 볼만한 제품은 PX1, PX2, PX3 (사진 순서대로)
400W에서 최대 3,000W급까지 갖춰진 미소닉스의 마스터 시리즈는 0~100% 전 영역에서 무 단계 디밍(Dimming, 광원의 광속 조절)을 지원해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발광한다. 90-260VAC 전원을 지원해 전 세계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원은 50~60Hz 주파수를 지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디밍 조절은 가변볼륨 방식과 디지털 버튼 방식으로 조절한다. 이 시리즈는 영화용과 사진용으로 나뉜다. 영화용은 400W(M4), 600W(M6), 800W(M8), 1,000W(MX2), 1,500W (MX3)등이 있다. 사진용은 M5, MX1, MX2, MX3로 각 500W, 1,000W, 2,000W, 3,000W의 최대 출력을 지녔다. 두 제품의 차이는 냉각팬의 장착 여부다. M4와 M5는 같은 성능을 지녔지만, 사진용인 M5는 냉각팬으로 인해 출력의 약 100%를 활용할 수 있다.
LED MASTER 시리즈의 모든 제품은 표준 광원과 비슷하게 색상을 구현해내는 정도를 나타내는 연색지수(Color Rendering Index, CRI)가 90 이상으로 연색성이 높다. 참고로, 연색성은 빛을 받은 사물이 재현하는 색의 정도를 의미한다. 연색지수가 낮을수록 색 분별이 명확하지 않으며, 연색지수가 100에 가까울수록 연색성이 높아 태양광 아래의 색상과 유사하다.
한편, LED MASTER 시리즈의 경우, 전원 입력, 디밍의 모든 조절을 후면부 컨트롤 패널을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현재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표시램프를 적용했다. 또한 FND 표시창을 통해 디밍 상태 확인과 스텐드를 통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색이 균일하지 않거나 화벨이 틀어지는 등의 플리커 현상을 현저하게 잡아내고 있다.
M5, MX1의 크기는 500×850㎜, 500×1,500㎜이다. 현재 MX2와 MX3는 주문생산 된다.
LED 패널 라이트
미소닉스의 LED 패널 라이트는 다른 메이커들의 패널 라이트의 문제점으로 꼽히는 두께를 절반으로 줄여 얇고 가벼우면서 방열기능을 지닌 슬림 베젤을 채택했다. 알루미늄 바디를 사용해 내충격성을 높였으며 마스터 시리즈와 같은 유사 사양을 지녔다. 전원 입력과 디밍은 후면부에서 조절하며, 0~100%까지 단계의 정밀한 디밍이 가능하다. 색온도는 5,600K와 3,200K를 지원한다. 천정이나 벽면에서 설치하며, 스텐드 사용 시에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50~400W까지의 전력으로 나뉘어 출시된 미소닉스의 LED 패널 라이트 중 주로 사진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제품은 PX1, PX2, PX3다. ▲PX1은 100W에 무게 8㎏, 크기 350×600㎜ ▲PX2는 200W에 무게 10㎏, 크기 600×600㎜ 또는 300×1,200㎜ ▲PX3는 300W에 무게 12㎏, 크기는 600×900㎜이다.
미소닉스의 LED SPOT LX는 LX2, 3로 나뉘어 공급되고 있다. SPOT LX2, 3는 각각 200W, 250W의 출력량을 지녔으며 색온도는 5,600K와 3,200K이고 연색지수는 85 이상이다. 라이트 앵글은 55°이며, 디밍은 LED 패널 라이트와 같다. SPOT LX2, 3 두 제품 모두 4.5㎏에 크기는 300×138×420㎜ 이다.
LED SPOT LX
한편, 미소닉스의 LED SPOT LX는 멀티피스 풀 알루미늄 바디를 통해 충격에 강하며 무게를 최소화해 내부 발생 열을 최단 시간 내에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팬은 저소음으로 설계됐다. 특히, 인터쿨링테크놀로지를 적용한 방열 시스템은 뛰어난 냉각 성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미소닉스의 한 관계자는 “이 기술과 디자인에 대해 특허등록을 완료했으며, 국제특허 PCT도 출원했다”고 전했다. 미소닉스의 LED SPOT LX는 소프트박스, 반사갓, 엄브렐러, 와이드 리플렉터, 허니컴 그리드, 스탠드 브라켓, 스피드 링 등의 기존 스튜디오용 액세서리와 호환이 가능하며 일반전원인 AC 90~260V를 지원하면서도 자동차 등의 전원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DC 10~40V도 지원한다. 또한 후면에는 과열 표시 램프, 팬 에러 표시 램프 등을 통해 조명을 조절한다. 디밍 컨트롤은 가변볼륨 방식과 버튼식 컨트롤이 가능하다.
LED POP 시리즈
미소닉스의 LED POP 시리즈는 POP L-5, POP L-X, POP L-X1의 3가지 종류가 공급되고 있다. 이들 제품의 출력량은 각각 50W, 100W, 150W로 이뤄졌다. POP L-5와 POP L-X는 3㎏의 무게와 300×138×360㎜ 크기를 지녔으며 POP L-X1은 4.5㎏의 무게와 300×138×420㎜ 크기다. 미소닉스의 LED POP 시리즈 대부분의 사양은 기존 LED SPOT LX와 같다.
스트로보 Type A/D
미소닉스의 스트로보 Type A/D는 아날로그의 ‘A’와 디지털의 준말인 ‘D’로 구분된다.
스트로보 Type A는 200W~1,200W를 지원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 회로를 내장해 1/64~풀까지 총 6단계로 광량을 조절한다. 조작이 쉽고 빠른 볼륨 컨트롤로 모든 영역에서 흔들림과 색온도 편차가 없이 정확한 발광이 가능하다. 일본 루비콘사의 포토전용 캐패시터를 사용해 내구성과 성능을 높인 제품이다. LED 표시창에는 프로포션, 사운드, 동조, 충전 완료 등이 표시된다. 미소닉스의 스트로보 Type A/D로 크기는 245×138×360㎜이고 제품별로 2~3.6㎏의 무게를 지니고 있다.
스트로보 Type D 시리즈 역시 최고 출력이 200~1,200W이다. 마이크로 듀얼 프로세서 회로가 내장되어 F1.1~10까지 총 90단계로 R 광량을 조절한다. 크기와 무게는 아날로그 제품과 동일하다.
인터뷰 / (주)미소닉스의 전상기 총괄 기술이사
“미소닉스 LED 조명 구매 전, 자신의 카메라와 스튜디오에 맞는 ‘매치 & 체험 테스트’를 꼭해보시길 바랍니다.”
▲(주)미소닉스의 전상기 총괄기술이사
= 인상사진스튜디오에서 LED 조명 선택 시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조명은 명확한 기준이 없다. 구매 전에 자신의 카메라로 스튜디오에서 반드시 테스트를 해야 한다. 자신의 스튜디오에서 매치 테스트를 해보고, 광량 조절 등의 시연을 해보는것이 우선이다. 다른 어떤 것보다 현장 테스트가 꼭 필요하다.”
= 인상사진스튜디오에서 기존 스트로보 보다 LED 조명을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인가?
“요즘 전 세계 추세가 순간광에서 지속광으로 넘어가고 있다. 지속광인 LED는 전력 사용량이 순간광보다 25% 정도 적으며, 수명 역시 길다. 미소닉스의 램프수명은 하루 8시간 기준으로 3천7백50일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할로겐 조명이 따라올 수 없는 수준이다. LED는 소모품에 대한 교체 비용이 없어 유지 보수비가 들지 않는다. 또한 순간광에 사용되는 램프에선 자외선이 방출되어 피사체나 촬영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아직 시력이 형성되지 않는 아이의 경우, 그 위험성이 높다는 발표도 들은 바 있다. LED 조명을 사용할 경우 이러한 염려를 할 필요가 현저히 적다.”
= (주)미소닉스 LED 조명의 특장점을 소개해달라.
“LED 소자를 제외한 모든 부품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국산화한 제품이기에 기술적으로 높은 신뢰성과 합리적인 가격을 들 수 있다. 또 미소닉스 LED 조명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부품은 국제 승인을 받은 것을 사용하고 있어 안정성이 보장된다.
이밖에도 사후 애프터서비스가 발생할 경우, 국내 제조사의 제품이기에 빠르고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한 것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취재 / 이효정 기자
|
|
|
|
|
|
TOTAL 67 ARTICLES |
|
|
|
|